국제22 '노벨 전쟁상'이 된 노벨평화상: 마차도와 미국 제국주의의 남미 침공 [국제] '노벨 전쟁상'이 된 노벨평화상: 마차도와 미국 제국주의의 남미 침공2025년 노벨평화상 수상자인 베네수엘라 야권 지도자 마리아 코리나 마차도는 "노벨상의 영광을 트럼프에게 돌리"며 베네수엘라 군사개입을 촉구하고, 신자유주의 정책의 확대로 베네수엘라의 국부(國富)를 미국에 팔아넘길 것임을 천명하는 극우주의자다. '평화상'이 아닌 '전쟁상'이 되어 버린 노벨상의 모순은 본질을 드러낸 제국주의에 맞서기 위한 새로운 국제연대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베네수엘라의 야권 지도자 마리아 코리나 마차도(María Corina Machado)가 2025년 노벨평화상 수상자로 발표되자마자, BBC와 CNN을 비롯한 서구 주요 언론은 마차도의 말을 빠르게 실어나르기 시작했다. BBC의 인터뷰 기사는 차베스주의 정부가.. 2025. 10. 27. 유엔 안보리 의장국 한국 정부, 지금 팔레스타인 국가승인에 나서야 한다 [국제] 유엔 안보리 의장국 한국 정부, 지금 팔레스타인 국가승인에 나서야 한다이스라엘의 가자지구 집단학살 격화 속 프랑스, 영국, 벨기에 등 많은 서방 국가들은 하나둘씩 '팔레스타인 국가승인'을 시사하고 있지만, 올해 유엔 안보리 의장국인 한국 정부는 여전히 팔레스타인 승인 문제를 외면하는 중이다. 많은 논쟁 속에도 팔레스타인 국가승인이 바로 지금 진보정치의 정치적 요구가 되어야 하는 이유를 함께 살펴본다.안보리 의장국 한국, 폭주하는 이스라엘의 '방관자'로 남을 것인가 뉴스 국제면에서 이스라엘의 가자지구 집단학살 관련 소식을 접하는 것이 이제는 일상이 된 우리에게, 얼마 전 한 가지 소식이 더해졌다. 이스라엘이 하마스 대표단을 제거한다는 명목으로 카타르의 수도 도하를 폭격한 것이다. 이스라엘이 팔레스.. 2025. 9. 14. 쿠바 혁명의 새로운 도전, 가족법 및 아동청소년청년법 개정 [국제] 쿠바 혁명의 새로운 도전, 가족법 및 아동청소년청년법 개정중남미 유일의 사회주의 국가 쿠바는 2025년 7월 법률 개정을 통해 청년·청소년의 자기결정권 및 주체성을 인정하는 새로운 아동청소년청년법을 도입했다. 앞서 2022년에는 가족법 개정을 통해 사회주의 국가 최초로 동성혼을 합법화하고 가족구성권의 범위를 급진적으로 넓히기도 했다. 한국 언론에는 쉽게 소개되지 않는 성평등과 진보를 향한 쿠바의 노력과 그 현주소를 함께 알아보자. 지난 7월 에 기고된 글 에서는, 최근 있었던 쿠바 국영통신사 ETECSA의 인터넷 요금 인상과 이에 맞선 저항 운동을 소개하며 중남미 유일 현실사회주의 국가로서의 쿠바 사회를 입체적으로 조망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이번 글에서는 인권 보장의 측면에서 쿠.. 2025. 8. 23. 이브라힘 트라오레, 아프리카 주권주의와 반인권의 딜레마 [국제] 이브라힘 트라오레, 아프리카 주권주의와 반인권의 딜레마군부 쿠데타로 집권하여 혁명가 토마 상카라의 이미지를 차용하고, 공식 석상에서 양복이 아닌 군복을 착용하는 아프리카의 젊은 지도자. 올해 37세인 동아프리카 국가 부르키나파소의 임시 대통령 이브라힘 트라오레에 대한 소개다. 서구 제국주의의 착취에 맞서는 반제국주의의 영웅이면서 동시에 소수자에 대한 인권 탄압을 일삼는 권위주의 지도자라는 양면적 평가를 받는 트라오레와 아프리카 주권주의의 현주소, 어떻게 바라보아야 하는가?요동치는 아프리카 대륙, 경제성장과 이면의 그림자지금으로부터 4년 전, 윤석열은 안동대학교 대학생들을 만난 자리에서 "손발노동은 아프리카나 하는 것"이라는 발언으로 논란을 빚은 바 있다. 인종주의적이고 차별적인 윤석열의 망언에는.. 2025. 8. 18. 쿠바 인터넷 요금 인상 논란으로 본 '현실사회주의'의 현주소 [국제] 쿠바 인터넷 요금 인상 논란으로 본 '현실사회주의'의 현주소중남미의 유일한 사회주의 국가 쿠바가 최근 큰 폭의 인터넷 요금 인상으로 자국 내 논란을 빚었다. 유일하게 남은 '현실사회주의' 국가 쿠바는 민중의 낙원인가, 혹은 우파들의 말처럼 단지 실패한 체제를 부여잡고 있을 뿐인가? 쿠바 사회주의의 성과와 한계, 그리고 현실사회주의의 현주소를 살펴보자. 반공주의라는 현대 주류 자본주의 사회의 컨센서스 속에서, 흔히 '공산주의'와 등치되곤 하는 '현실사회주의(Real Socialism, 구 소련을 비롯해 현실에 존재하는/존재했던 사회주의 국가들의 체제를 이르는 말: 편집자 주)'는 우파로부터는 "평등하되 모두가 빈곤하다" 혹은 "전체주의 통제 사회", 좌파로부터는 "실질적인 평등의 부재" 등 좌우 .. 2025. 7. 17. 2025년 칠레 대선, 공산당과 자넷 하라의 돌풍 [국제] 2025년 칠레 대선, 공산당과 자넷 하라의 돌풍4개월 후로 다가온 2025년 칠레 대통령 선거, 공산당의 후보로 나선 자넷 하라가 여당연합의 대선 경선에서 예상치 못한 압승을 거두었다. 그러나 갈 길은 여전히 멀다. 2019년 민중봉기의 성과로 집권한 중도좌파 보리치 정권의 몰락과 급진좌파 하라의 승리 이유를 살펴보며 한국 진보정치가 가야 할 길을 찾아본다.올해 11월 16일(1차 투표)~12월 14일(결선투표)에 걸쳐 남아메리카 칠레에서는 대통령 선거가 치러진다. 지난 2019년의 민중봉기 이후 2021년 대선에서 승리를 거머쥔 가브리엘 보리치(Gabriel Boric) 현 대통령의 임기가 올해인 2025년 끝을 맺고, 내년부터는 새로운 대통령이 칠레의 국정을 이끌어 간다. 그러나 전망은 별.. 2025. 7. 9.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