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제20

쿠바 혁명의 새로운 도전, 가족법 및 아동청소년청년법 개정 [국제] 쿠바 혁명의 새로운 도전, 가족법 및 아동청소년청년법 개정중남미 유일의 사회주의 국가 쿠바는 2025년 7월 법률 개정을 통해 청년·청소년의 자기결정권 및 주체성을 인정하는 새로운 아동청소년청년법을 도입했다. 앞서 2022년에는 가족법 개정을 통해 사회주의 국가 최초로 동성혼을 합법화하고 가족구성권의 범위를 급진적으로 넓히기도 했다. 한국 언론에는 쉽게 소개되지 않는 성평등과 진보를 향한 쿠바의 노력과 그 현주소를 함께 알아보자. 지난 7월 에 기고된 글 에서는, 최근 있었던 쿠바 국영통신사 ETECSA의 인터넷 요금 인상과 이에 맞선 저항 운동을 소개하며 중남미 유일 현실사회주의 국가로서의 쿠바 사회를 입체적으로 조망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이번 글에서는 인권 보장의 측면에서 쿠.. 2025. 8. 23.
이브라힘 트라오레, 아프리카 주권주의와 반인권의 딜레마 [국제] 이브라힘 트라오레, 아프리카 주권주의와 반인권의 딜레마군부 쿠데타로 집권하여 혁명가 토마 상카라의 이미지를 차용하고, 공식 석상에서 양복이 아닌 군복을 착용하는 아프리카의 젊은 지도자. 올해 37세인 동아프리카 국가 부르키나파소의 임시 대통령 이브라힘 트라오레에 대한 소개다. 서구 제국주의의 착취에 맞서는 반제국주의의 영웅이면서 동시에 소수자에 대한 인권 탄압을 일삼는 권위주의 지도자라는 양면적 평가를 받는 트라오레와 아프리카 주권주의의 현주소, 어떻게 바라보아야 하는가?요동치는 아프리카 대륙, 경제성장과 이면의 그림자지금으로부터 4년 전, 윤석열은 안동대학교 대학생들을 만난 자리에서 "손발노동은 아프리카나 하는 것"이라는 발언으로 논란을 빚은 바 있다. 인종주의적이고 차별적인 윤석열의 망언에는.. 2025. 8. 18.
쿠바 인터넷 요금 인상 논란으로 본 '현실사회주의'의 현주소 [국제] 쿠바 인터넷 요금 인상 논란으로 본 '현실사회주의'의 현주소중남미의 유일한 사회주의 국가 쿠바가 최근 큰 폭의 인터넷 요금 인상으로 자국 내 논란을 빚었다. 유일하게 남은 '현실사회주의' 국가 쿠바는 민중의 낙원인가, 혹은 우파들의 말처럼 단지 실패한 체제를 부여잡고 있을 뿐인가? 쿠바 사회주의의 성과와 한계, 그리고 현실사회주의의 현주소를 살펴보자. 반공주의라는 현대 주류 자본주의 사회의 컨센서스 속에서, 흔히 '공산주의'와 등치되곤 하는 '현실사회주의(Real Socialism, 구 소련을 비롯해 현실에 존재하는/존재했던 사회주의 국가들의 체제를 이르는 말: 편집자 주)'는 우파로부터는 "평등하되 모두가 빈곤하다" 혹은 "전체주의 통제 사회", 좌파로부터는 "실질적인 평등의 부재" 등 좌우 .. 2025. 7. 17.
2025년 칠레 대선, 공산당과 자넷 하라의 돌풍 [국제] 2025년 칠레 대선, 공산당과 자넷 하라의 돌풍4개월 후로 다가온 2025년 칠레 대통령 선거, 공산당의 후보로 나선 자넷 하라가 여당연합의 대선 경선에서 예상치 못한 압승을 거두었다. 그러나 갈 길은 여전히 멀다. 2019년 민중봉기의 성과로 집권한 중도좌파 보리치 정권의 몰락과 급진좌파 하라의 승리 이유를 살펴보며 한국 진보정치가 가야 할 길을 찾아본다.올해 11월 16일(1차 투표)~12월 14일(결선투표)에 걸쳐 남아메리카 칠레에서는 대통령 선거가 치러진다. 지난 2019년의 민중봉기 이후 2021년 대선에서 승리를 거머쥔 가브리엘 보리치(Gabriel Boric) 현 대통령의 임기가 올해인 2025년 끝을 맺고, 내년부터는 새로운 대통령이 칠레의 국정을 이끌어 간다. 그러나 전망은 별.. 2025. 7. 9.
뉴욕 시장 선거, 조란 맘다니의 경선 승리와 격동의 서막 [국제] 뉴욕 시장 선거, 조란 맘다니의 경선 승리와 격동의 서막민주당의 압도적 텃밭인 뉴욕 시장 선거의 경선에서, 33세의 민주적 사회주의자이자 인도계 무슬림 조란 맘다니가 예상 밖의 압승을 거두었다. '아웃사이더' 맘다니는 어떻게 거물 정치인 쿠오모를 상대로 승리할 수 있었는가? 맘다니의 승리는 무엇을 시사하며, 우리는 무엇에 주목해야 하는가? 현지 시각으로 6월 24일 저녁, 뉴욕 타임스. 바로 며칠 전 시장 선거 지지 후보에 관하여 수수께끼 같은 사설을 실어 SNS를 분노로 불타오르게 했던 뉴욕 타임스가 라는 기사를 웹사이트 메인에 걸었다. 그 말대로 DSA(Democratic Socialists of America, 미국 민주사회주의자들) 회원이자 인도계 무슬림인 조란 맘다니(Zohran Ma.. 2025. 7. 1.
미국과 이스라엘의 이란 침공, 한국 사회운동의 이해와 대응 [국제] 미국과 이스라엘의 이란 침공, 한국 사회운동의 이해와 대응이스라엘의 이란 침공과 미국의 동참으로 인해 수천 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휴전 합의가 이루어졌지만 중동 전역에 드리운 전쟁위기는 여전하다. 이스라엘과 미국의 대(對)이란 정책이 갖는 뿌리 깊은 모순과 위선을 바라보며, 한국의 진보적 정치·사회운동은 이란의 전쟁위기에 대해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2025년 6월 13일, 이스라엘은 이란 전역을 기습적으로 공습했다. 이후 보름이 채 안 되는 기간 동안 세계는 두려움에 떨며 중동 전황을 지켜보아야 했다. 이스라엘과 이란 양국 간에는 미사일과 군사 드론이 오고 가며 수백 명의 사망자와 수천여 명의 부상자가 발생했으며, 22일 미국이 이란을 직접 폭격하자 긴장은 더욱 고조되었다. 이후 이스라엘과.. 2025. 6.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