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제18

쿠바 인터넷 요금 인상 논란으로 본 '현실사회주의'의 현주소 [국제] 쿠바 인터넷 요금 인상 논란으로 본 '현실사회주의'의 현주소중남미의 유일한 사회주의 국가 쿠바가 최근 큰 폭의 인터넷 요금 인상으로 자국 내 논란을 빚었다. 유일하게 남은 '현실사회주의' 국가 쿠바는 민중의 낙원인가, 혹은 우파들의 말처럼 단지 실패한 체제를 부여잡고 있을 뿐인가? 쿠바 사회주의의 성과와 한계, 그리고 현실사회주의의 현주소를 살펴보자. 반공주의라는 현대 주류 자본주의 사회의 컨센서스 속에서, 흔히 '공산주의'와 등치되곤 하는 '현실사회주의(Real Socialism, 구 소련을 비롯해 현실에 존재하는/존재했던 사회주의 국가들의 체제를 이르는 말: 편집자 주)'는 우파로부터는 "평등하되 모두가 빈곤하다" 혹은 "전체주의 통제 사회", 좌파로부터는 "실질적인 평등의 부재" 등 좌우 .. 2025. 7. 17.
2025년 칠레 대선, 공산당과 자넷 하라의 돌풍 [국제] 2025년 칠레 대선, 공산당과 자넷 하라의 돌풍4개월 후로 다가온 2025년 칠레 대통령 선거, 공산당의 후보로 나선 자넷 하라가 여당연합의 대선 경선에서 예상치 못한 압승을 거두었다. 그러나 갈 길은 여전히 멀다. 2019년 민중봉기의 성과로 집권한 중도좌파 보리치 정권의 몰락과 급진좌파 하라의 승리 이유를 살펴보며 한국 진보정치가 가야 할 길을 찾아본다.올해 11월 16일(1차 투표)~12월 14일(결선투표)에 걸쳐 남아메리카 칠레에서는 대통령 선거가 치러진다. 지난 2019년의 민중봉기 이후 2021년 대선에서 승리를 거머쥔 가브리엘 보리치(Gabriel Boric) 현 대통령의 임기가 올해인 2025년 끝을 맺고, 내년부터는 새로운 대통령이 칠레의 국정을 이끌어 간다. 그러나 전망은 별.. 2025. 7. 9.
뉴욕 시장 선거, 조란 맘다니의 경선 승리와 격동의 서막 [국제] 뉴욕 시장 선거, 조란 맘다니의 경선 승리와 격동의 서막민주당의 압도적 텃밭인 뉴욕 시장 선거의 경선에서, 33세의 민주적 사회주의자이자 인도계 무슬림 조란 맘다니가 예상 밖의 압승을 거두었다. '아웃사이더' 맘다니는 어떻게 거물 정치인 쿠오모를 상대로 승리할 수 있었는가? 맘다니의 승리는 무엇을 시사하며, 우리는 무엇에 주목해야 하는가? 현지 시각으로 6월 24일 저녁, 뉴욕 타임스. 바로 며칠 전 시장 선거 지지 후보에 관하여 수수께끼 같은 사설을 실어 SNS를 분노로 불타오르게 했던 뉴욕 타임스가 라는 기사를 웹사이트 메인에 걸었다. 그 말대로 DSA(Democratic Socialists of America, 미국 민주사회주의자들) 회원이자 인도계 무슬림인 조란 맘다니(Zohran Ma.. 2025. 7. 1.
미국과 이스라엘의 이란 침공, 한국 사회운동의 이해와 대응 [국제] 미국과 이스라엘의 이란 침공, 한국 사회운동의 이해와 대응이스라엘의 이란 침공과 미국의 동참으로 인해 수천 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휴전 합의가 이루어졌지만 중동 전역에 드리운 전쟁위기는 여전하다. 이스라엘과 미국의 대(對)이란 정책이 갖는 뿌리 깊은 모순과 위선을 바라보며, 한국의 진보적 정치·사회운동은 이란의 전쟁위기에 대해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2025년 6월 13일, 이스라엘은 이란 전역을 기습적으로 공습했다. 이후 보름이 채 안 되는 기간 동안 세계는 두려움에 떨며 중동 전황을 지켜보아야 했다. 이스라엘과 이란 양국 간에는 미사일과 군사 드론이 오고 가며 수백 명의 사망자와 수천여 명의 부상자가 발생했으며, 22일 미국이 이란을 직접 폭격하자 긴장은 더욱 고조되었다. 이후 이스라엘과.. 2025. 6. 26.
북유럽 사례로 보는 진보정당과 노동조합의 정치적 관계, 어디를 향해야 하는가? [국제] 북유럽 사례로 보는 진보정당과 노동조합의 정치적 관계, 어디를 향해야 하는가?사회민주주의 정당들에 대한 북유럽 노동조합들의 '배타적 지지'는 유명한 노르딕 복지국가 모델을 만들어왔지만, 최근 북유럽 주요 노동조합들의 배타적 지지는 점차 형해화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최근 민주노총이 대선 방침을 정하지 못하는 등 노동자 정치세력화가 다양한 부침을 겪는 이 와중, 진보정당과 노동조합의 정치적 관계는 어디를 향해야 할까?사회민주주의 정당들에 대한 북유럽 노동조합들의 '배타적 지지' 역사북유럽 국가들 - 스웨덴, 노르웨이, 덴마크 - 에서 사회민주주의 정치세력과 노동조합의 긴밀한 연대가 복지국가 모델을 유지시키는 핵심 동력으로 작용해 온 것은 익히 알려져 있다. 이른바 '노르딕 모델'은 사회민주주의 정당.. 2025. 6. 12.
핀란드 지방선거로 본 서구 복지국가의 위기와 재구성을 향한 움직임 [국제] 핀란드 지방선거로 본 서구 복지국가의 위기와 재구성을 향한 움직임최근 북유럽 핀란드에서 사회민주당과 좌파 진영이 압승을 거뒀다. 위기에 직면했던 북유럽 사회민주주의와 복지국가는 어떻게 스스로를 혁신하고 재구성해 나가고 있는가? 한국의 복지국가 담론은 어디를 향해야 하는가?핀란드 지방선거, 좌파의 승리를 불러온 우파 정부의 의료개악 4월 13일 금요일, 핀란드 지방행정을 담당하는 지방자치단체 의회와 복지 서비스만을 전담하는 카운티 의회(복지구)의 의원을 뽑는 지방선거가 열렸다. 선거 결과 지난 총선에서 3위로 밀렸던 야당 사회민주당(SDP)이 득표율 1위를 탈환하였고, 범좌파 야당 진영(사민당, 녹색당, 좌파동맹, 중앙당)은 총합 60%에 가까운 득표율을 보여주며 우파 여당연합을 완전히 패배시켰다.. 2025. 5.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