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도모 편집국/뉴스레터

도모 뉴스레터: 2025년 11월호 (제14호)

by Domoleft 2025. 11. 14.
 
<도모> 2025년 11월호
(제14호)
 
목차
 
 
 
 
* 각 기사의 제목을 클릭하면 즉시 이동하실 수 있습니다.
 
편집국의 말: 30살 민주노총, 민주노조운동과 노동자 정치세력화의 새로운 30년을 기리며
 
"1995년 11월 11일, 연세대학교 대강당에서는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이하 민주노총)의 창립대회가 열렸습니다. 반공주의 분단체제와 개발독재의 엄혹한 현실 속에서도 굴하지 않고 투쟁을 이어 온 이 땅의 노동자 민중이 쟁취해 낸 성과였습니다. 많은 이들이 가슴 벅차했습니다. 그 때로부터 30년이 지났습니다. "우리의 한 맺힌 노동해방을 당당히 선언하라"며 출범한 민주노총은 과연 2025년의 한국 사회가 제기하는 시대적 과제에 어떻게 대응하고 있을까요?"
 
도모 2025년 11월호
<민주노총 창립 30주년 기념 노동운동 특집>
[사회] 서른 살 민주노총, 그리고 서른 살 노조 활동가들의 이야기
 
"1995년 창립한 민주노총이 어느덧 서른 번째 생일을 맞았다. 민주노총과 같은 해에 태어난 이들은 어느덧 지역과 부문, 현장에서 각기 노동운동의 미래를 고민하는 노동조합 활동가가 되었다. 대학원생노조, 전교조, 공공운수노조의 1995년생 30살 조합원이자 활동가 세 명이 자신에게 있어 민주노조운동의 의미와 치열한 고민들을 풀어놓는다."
 
[국제] 가자와 연대한 이탈리아 노동자들의 총파업
 
"10월 3일 이탈리아 전역에서는 2백만 명 이상의 노동자들이 가자지구 민중과 연대하는 전국적 총파업을 벌였다. 신자유주의로 노동운동이 약화된 오늘날, 국제연대를 위한 거대한 총파업은 어떻게 실현될 수 있었는가? 오랜 대중운동의 역사에 기반한 이탈리아 기층 노동조합들이 보여 주는 연대의 힘은 우리의 민주노조운동에도 많은 것을 시사한다."
 
[씨네도모] 잊혀진 항쟁, 사북노동항쟁: 다큐멘터리 영화 <1980 사북>을 보고
 
"얼마 전 다큐멘터리 <사북 1980>이 조용하게 개봉했다. 정선군 사북읍 탄광노동자들의 거대한 투쟁이었던 사북항쟁은 어떻게 일어났고, 왜 잊혀졌는가? 민주노총 30주년을 맞은 오늘날, 마땅히 누려야 할 운동의 성취조차 누리지 못하고 역사의 저편에 잊혀진 1980년 4월의 사북항쟁을 다시 한 번 돌아본다."
 
[인터뷰] 민주노총 30주년, 양경규가 말하는 노동자 정치세력화의 어제와 오늘
 
"민주노총 30주년, 늘 민주노조운동의 숙원이자 지상과제였던 노동자 정치세력화는 어디에서 시작했고 지금 어디에 와 있는가? 민주노총 정치위원장과 민주노동당 초대 부대표를 맡아 노동자 정치세력화에 헌신해 온 양경규 전 정의당 국회의원이 바라보는 노동자 정치세력화의 어제와 오늘을 <도모> 인터뷰에 싣는다."
 
  
[사회] 문신사법 통과에 부쳐: 타투이스트로 산다는 것
 
"2025년 9월 25일 국회는 비의료인의 문신 시술을 합법화하는 문신사법을 통과시켰다. 1992년 대법원의 '문신은 의료행위' 판결 이후 33년 만에 타투이스트가 합법적 직업으로 인정받은 것이다. 법으로 인정받지 못함에도 분명히 존재해 왔던 그들의 삶, '타투이스트로 산다는 것'은 무엇이었으며 이제는 또 무엇이 될까? 문신사법 통과에 부쳐, 연남동에서 활동하는 한 타투이스트가 현장의 목소리와 앞으로의 과제를 <도모>에 기고해 왔다."
 
[사회] 캄보디아와 한국: 거울을 마주한 문명, 혹은 정리된 야만의 초상
 
"하루가 멀다 하고 캄보디아 범죄단지의 '야만적' 실상을 내보내는 언론들, 그러나 우리 사회는 스스로의 야만성을 과연 직시하고 있는가? 캄보디아 범죄단지 사태가 드러낸 한국 사회의 인종주의와 '우리 안의 범죄단지'를 비판하는 음성노동인권센터 박성우 상임활동가의 글을 게재한다."
 
 
[경제] 산업경쟁력과 맞바꾼 한미동맹과 '마스가'의 함정
 
"트럼프와 이재명 간의 협상 결과로 3,500억 달러 규모의 한-미 투자 패키지가 체결되었다. 일각에서는 이를 성공적 협상이라 자축하며 '진짜 보수'라 열광한다. 그러나 수천억 달러의 현물과 한국의 산업경쟁력을 희생할 만큼 오늘날의 한미동맹은 가치 있는 존재인가? '망국의 두려움'에 사로잡힌 한국 정치권이 스스로 불러온 경제적 종속을 비판한다."
 
 
[국제] '노벨 전쟁상'이 된 노벨평화상: 마차도와 미국 제국주의의 남미 침공
 
"2025년 노벨평화상 수상자인 베네수엘라 야권 지도자 마리아 코리나 마차도는 "노벨상의 영광을 트럼프에게 돌리"며 베네수엘라 군사개입을 촉구하고, 신자유주의 정책의 확대로 베네수엘라의 국부(國富)를 미국에 팔아넘길 것임을 천명하는 극우주의자다. '평화상'이 아닌 '전쟁상'이 되어 버린 노벨상의 모순은 본질을 드러낸 제국주의에 맞서기 위한 새로운 국제연대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씨네도모] 일본 애니메이션 영화의 이상하지 않은 흥행과 이상한 비평
 
"<극장판 체인소 맨: 레제편>과 <극장판 귀멸의 칼날: 무한성편>이 한국 극장가를 휩쓸고 있다. 일각에서는 이를 '돌연변이 흥행물'이라 규정하며 '한국 극장의 일본화'를 우려한다. '이상 흥행'이라는 문화 종족주의적 프레임을 걷어내고, 오늘날 한국 대중문화의 발전을 가로막고 있는 정말 이상한 것이 무엇인지 묻고자 한다."
 
[씨네도모] 미래의 혁명 혹은 혁명의 미래: <원 배틀 애프터 어나더>의 멜랑콜리 정치학
 
"폴 토마스 앤더슨(PTA)의 신작 <원 배틀 애프터 어나더>는 패배한 과거의 혁명가와 그의 딸을 주인공으로 삼아 분명히 달라졌지만 여전히 계속되고 있는 우리 시대 혁명의 이야기를 다룬다. '전투 다음에 또 전투'가 끝없이 이어지는 세상에서, 현재는 과거를 어떻게 도울 수 있는가?"
 
 
웹진 <도모> 창간 1주년 기념 단행본 '도모 플러스'
 
웹진 <도모>에 게재된 지난 1년간의 주요 기사들, 새로운 기사들 및
단행본만의 텍스트를 알차게 꾹꾹 채워넣은 1주년 기념 단행본
<도모+> 제1호가 현재 판매 중에 있습니다.
하단의 링크를 통해 지금 바로 <도모+>를 구입하실 수 있습니다.
 
대안적 진보 매체를 지향하는 도모의 도전이 계속될 수 있도록,
단행본 구입으로 힘을 보태 주세요!
 
• 단행본 사양: A4(210×297), 120p
• 가격: 12,000원(배송비 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