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사 전체보기170

네 번째 춘천퀴어문화축제: 조직위원 이효성을 만나다 [인터뷰] 네 번째 춘천퀴어문화축제: 조직위원 이효성을 만나다강원 지역 유일의 퀴어문화축제, 제4회 '춘천퀴어문화축제 소양강퀴어'가 지난 10월 19일 춘천 낙원문화공원에서 개최되었다. 지역에서 퀴어문화축제를 4년 동안 계속한다는 것, 지역사회와 함께 성소수자 운동을 이어나간다는 것은 어떤 의미일까? 전환 회원이기도 한 이효성 춘천퀴어문화축제 조직위원이 네 번째의 춘천퀴어문화축제를 마치고 와 인터뷰를 진행했다. - 먼저 간단한 자기소개를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춘천에서 활동하고 있는 전환 회원 이효성입니다. 춘천퀴어문화축제조직위원회 조직위원이고요, 얼마 전인 10월 말까지 정의당 강원특별자치도당 사무처장으로 일해 왔습니다.   - 강원도당 사무처장으로 오랫동안 일하시느라 고생이 많으셨습니다. 선거가 .. 2024. 10. 31.
사라진 공론장, 그리고 '조용한 후퇴': 서울시교육감 선거 결과에 기뻐할 수 없는 이유 [정치] 사라진 공론장, 그리고 ‘조용한 후퇴’서울시교육감 선거 결과에 기뻐할 수 없는 이유지난 10월 16일, 조희연 전 교육감의 교육감직 상실로 인한 서울시교육감 보궐선거가 치러졌다. 선거 결과는 '민주진보 단일후보'를 내세운 정근식 후보의 당선으로 마무리되었지만, 그의 교육 정책과 원칙, 내용이 정말 '진보적'인지에 대해 선거 이전부터 많은 우려가 제기되어 왔다. 인도주의실천의사협의회(인의협)에서 활동 중이고, 계급재생산의 수단으로 기능하는 교육과 입시에 대한 문제의식으로 을 공저한 문호진 작가가 정근식 후보의 당선을 바라보며  에 글을 보내 왔다. [편집부]교육에 앞선 인지도와 명망성선거운동 시작 즈음 겪었던 에피소드를 소개하면서 이야기를 열고자 한다. 필자의 저서인 작업의 단초가 되었던 지역별.. 2024. 10. 29.
AMLO에 대한 고별사 - 멕시코 진보정치 6년의 빛과 그림자 [연재] 동백림의 세계를 보는 왼쪽 눈AMLO에 대한 고별사 - 멕시코 진보정치 6년의 빛과 그림자멕시코의 좌파 대통령 AMLO가 6년의 임기를 마치고 얼마 전 퇴임했다. "좌파 트럼프"라 불리며 많은 논쟁을 낳았음에도 후임자에게 성공적으로 정권을 승계하고 지지율 79%로 퇴임한 AMLO, 멕시코의 진보정치에 그가 남긴 빛과 그림자는 무엇일까? 이 글은 2018년에 집권하여 2024년 10월 1일 후임자 클라우디아 셰인바움(Claudia Sheinbaum)에게 정권을 승계하고 퇴임한 안드레스 마누엘 로페스 오브라도르(Andrés Manuel López Obrador, 약칭 AMLO)에 대한 고별사이다. 말도 많고 탈도 많은 중남미 지역에서도 가장 뜨거운 감자였던 21세기 멕시코 최초의 좌파 대통령 AML.. 2024. 10. 22.
진보 3당, '부유세 도입' 토론회 공동 개최··· "불평등 해소와 조세정의 실현을 위한 첫 걸음" [진보정치] 진보 3당, '부유세 도입' 토론회 공동 개최"불평등 해소와 조세정의 실현을 위한 첫 걸음" 노동당, 녹색당, 정의당 등 진보 3당이 공동으로 주최한 ‘감세정국에서 부유세 도입을 말하다’ 토론회가 지난 10월 11일 강북노동자복지관에서 열렸다. 이번 토론회에는 각 당의 대표자와 정책위원장, 그리고 시민사회단체 대표자들이 참석해 부유세 도입의 필요성과 구체적 방안에 대해 열띤 토론을 벌였다. 기조강연을 맡은 정세은 충남대학교 경제학과 교수는 부유세의 개념과 배경에 대해 설명했다. 정 교수는 "부유세란 순자산에 부과하는 세금으로, 소득이 아닌 자산에 과세한다는 점에서 기존 세금과 차이가 있다"고 밝혔다. 또한 "미국에서 상위 1%의 소득 증가율이 급격히 상승하고 있으며, 이는 대부분 자본소득의 .. 2024. 10. 14.
토론회 <사회운동과 진보정치의 위기를 직시하며, 내일의 길을 묻다> [전환 소식] 토론회 전환·녹색정치의 시간을 만들어가는 녹색당원들(녹정시) 공동 개최 사회운동단체 전환과 녹색당 내 의견그룹인 '녹색정치의 시간을 만들어가는 녹색당원들'(이하 녹정시)가 공동으로 주최하는 토론회가 오는 10월 16일 개최된다. 라는 제목으로 열리는 이번 토론회에는 현 시기 국내 주요 사회운동 및 진보정치 단체들이 발제와 지정 토론으로 참석하여 사회운동, 진보정치의 향후 방향성을 함께 이야기할 전망이다. 토론회는 10월 16일 오후 7시 30분부터 9시 30분까지, 정동 민주노총 15층 교육장에서 이현정 '녹색정치Lab 그레' 소장의 사회로 진행될 예정이다. 나경채 전환 집행위원장의 "22대 총선 이후의 한국 진보정치, 어디로 가야 하는가?"와 김선철 녹정시 활동가의 "기후정의운동과 진보정.. 2024. 10. 10.
팔레스타인 해방을 위해, 다시 모인 한국의 목소리: 10.5 이스라엘 규탄 전국집중행동 집회 성황리에 개최 [사회운동] 팔레스타인 해방을 위해, 다시 모인 한국의 목소리10.5 이스라엘 규탄 전국집중행동 집회 성황리에 개최 지난 10월 5일 오후 2시, '팔레스타인과 연대하는 한국 시민사회 긴급행동'(이하 긴급행동)에서 주최한 집회가 서울 보신각에서 개최되었다. 성황리에 마무리된 이번 집회에는 약 1,500여 명(주최측 추산)의 시민들이 참석했다. 전국 각지에서 서울로 모인 참석자들은 작년 10월 7일 이후 1년 간의 집단학살 희생자들을 기리고 이스라엘을 규탄, 팔레스타인 민중과의 연대를 다졌다. 사회운동단체 전환을 포함하여 진보정당, 노동조합, 시민사회단체 등 약 215개 단체가 함께하고 있는 긴급행동은 2023년 10월 22일 열린 제1차 집회를 시작으로 격주 토요일마다 팔레스타인 연대 집회를 개최해 왔.. 2024. 10. 6.